GameDevelop/UnrealEngine 3

UnrealEngine - 변수 UI에 붙이기 (블루 프린트 사용)

오늘은 언리얼 엔진에서 UI를 만들어서 붙여보려고 합니다.(ChatGPT의 도움을 받으며 진행했습니다.) 내가 보유한 총알 갯수를 띄워보겠습니다.   언리얼 엔진에서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UMG (Unreal Motion Graphics)라는 언리얼 엔진의 UI 툴킷을 사용합니다. 우측 하단의 '콘텐츠 드로어' 버튼으로 컨텐츠 브라우저를 열어줍니다.  이제 '콘텐츠 브라우저'에서 우클릭을 한 뒤, '유저 인터페이스' -> '위젯 블루프린트'를 클릭해줍니다.  '사용자 위젯' 클릭하여 '새 위젯 블루프린트'를 만들어줍니다.  저는 총알 남은 갯수를 표시해줄 거라서 AmmoWidget으로 이름을 지었습니다.  이제 더블 클릭하여 UMG 에디터를 열어줍니다.  Text 위젯을 드래그 앤 ..

UnrealEngine - UPROPERTY / 코드 변경사항 에디터에 즉시 적용 / 라이브 코딩

템플릿 프로젝트를 이것저것 수정해보면서 공부해보려고 했는데...UPROPERTY로 변수 선언한 내용이 에디터에 반영되지 않아서 잠깐 헤맸습니다.UPROPERTY더보기UPROPERTY() 매크로가 사용된 멤버변수는 언리얼 리플렉션 시스템 (= 프로퍼티 시스템)에 등록됩니다.이로 인해서...- 에디터의 디테일 패널에서 확인 할 수 있게 됩니다.- 지정자를 추가하여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EditAnywhere, BlueprintReadWrite 등)- 런타임 중에 이 변수의 값을 알 수 있게 됩니다.- 가비지 콜렉션에 의해 생명주기가 관리됩니다.  WeaponType 이 에디터에 노출이 되지 않고 있는데요. 검색해보니 에디터를 껐다 키라니..??조금 수정하고 확인해보려면 매번 껐다 켜야하는건가..

UnrealEngine 5.4 - unsupported architecture... 에러 해결방법

언리얼 엔진 공부 좀 해보려고 일인칭 템플릿을 열어보았는데...VS에서 아래와 같이 에러 문구가 뜨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unsupported architecture, please declare which address bit distinguish user space from kernel space   검색해보니 해결 방법이 바로 나와서 따라해보았습니다.  1. 편집 - 에디터 개인설정 클릭  2. 소스코드 - 소스 코드 에디터 - Visual Studio 2022 클릭요거는 아마 본인이 쓰는거 고르시면 될 듯합니다.기본값이 Visual Studio로 되어있었는데 Visual Studio 2022 로 변경하니 해결되었습니다.